건강칼럼

홈으로_ 커뮤니티_ 건강칼럼

제목

뇌종양 유관 ''간질'' 수술 치료 효과적

뇌종양으로 인해 유발된 측두엽 간질에는 적극적인 수술치료가 간질 및 종양 재발 억제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대병원 정천기 신경외과 교수 연구팀이 1995~2006년 뇌종양과 연관돼 발생한 측두엽 간질 환자 87명의 수술 성적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이 조사됐다.

수술 후 간질 치료율은 1년째 92%, 2년째 86%, 5년째 79%로 나타났다. 뇌종양 치료율도 수술 후 1년째 99%, 5년째 90%로 조사됐다.

간질은 뇌의 이상에 의한 발작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상태를 말한다. 대부분 평생 지속되는 만성간질로 지속적인 약물치료를 필요로 한다.

우리나라의 간질환자 수는 약 30만명으로 추정된다. 이들 가운데 약 20% 정도가 약물로 발작이 조절되지 않는 난치성 간질 환자다. 이 중 뇌의 한 부위인 측두엽의 문제로 발생하는 간질을 측두엽 간질이라 한다. 간질 중 가장 흔하게 보이는 데, 이 가운데 약 10~20%의 환자한테서 측두엽에 뇌종양이 발견된다.

이러한 뇌종양은 비교적 양성의 경과를 보여 천천히 진행하지만 약물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난치성 간질을 동반하게 되고 때로는 악성종양으로 돌변하기 때문에 빠른 진단과 수술치료가 종양의 진행을 막고 간질발작을 멈추게 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측두엽 간질의 경우 장기적인 수술 성적과 예후가 잘 알려져 있지 않아 수술 치료보다 약물 치료를 선호하는 경향이 남아있다. 또 수술 부위 제거 범위와 관련 종양만을 제거할 것인지 아니면 종양 주변을 광범위하게 절제할 것인지에 대한 견해가 뜨겁게 양분돼 왔다.

연구팀은 이와 관련 뇌종양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수술로도 간질과 뇌종양 치료가 모두 가능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현재까지는 주로 뇌종양이 위치한 측두엽 부위를 광범위하게 절제하고 있다.

정천기 교수는 "종양을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수술방법이 종양 주변의 정상적인 측두엽 뇌조직을 광범위하게 제거하는 기존의 수술방법보다 환자의 삶의 질을 유지시키는 데 더 유리해 보인다"면서 단, "간질이 주변의 뇌조직에서 넓게 발생하거나 종양이 주변 뇌조직에 퍼져 있는 경우에는 측두엽을 상당 부분 절제할 수밖에 없으며 최적의 수술 방법은 환자 개개인의 상태와 검사 결과를 보고 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어 "뇌종양과 연관된 측두엽 간질은 난치성 간질과 뇌종양을 동시에 치료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면서 "뇌종양을 완전히 제거하는 수술이 뇌종양에 의해 생기는 측두엽 간질에서 가장 효과적인 치료전략"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암학회가 발행하는 국제저널인 ''Cancer'' 지난해 12월호에 게재됐으며, 신경계질환 국제저널인 ''Nature Reviews Neurology'' 올해 1월호 소개됐다.

건강을 위한 첫걸음 - 하이닥 (www.hidoc.co.kr)